A
지역난방 열요금은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공요금과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요금부담의 형평성 원리에 충실하도록 기본요금과 사용요금으로 구성된 이부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기본요금 : 감가상각비, 수선유지비 등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경비를 사용량에 관계없이 (계약면적 또는 계약용량에 따라) 매월 정액을 부과하는 것입니다.
☞사용요금 : 사용자 별로 사용한 열사용량을 계량기로 검침하여 부과하는 금액입니다.
A
과도한 난방보다는 적절한 실내온도 유지
이야기를 합니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겨울철 실내 온도는 ‘18∼20℃’가 적절하다고 합니다.
18∼20℃ 권장 온도 지키기
19℃에서 내복을 입는 것과 24℃에서 내복을 입지 않고 생활하는 것은
비슷한 수준의 온열 쾌적감을 보여주기 때문인데요,적정실내온도 18∼20℃는
내복 등 적절한 의복착용을 전제로 권장할 수 있는 온도라는 것입니다.
노인, 만성질환자 26∼28℃가 적정
내복 등 적절한 의복착용을 통해 3∼4℃의 편차를 극복할 수 있지만, 노인이나
어린이들, 만성질환자들은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위험합니다.
전문가는 실내온도 26∼28℃, 습도 40∼50% 정도를 적당히 유지시켜 줘야 한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A
별내에너지 굴뚝에서 나는 연기는 주전자에서 나는 연기와 같은 수증기입니다.
당사는 열병합발전소로 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전력 및 열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연료는 천연가스로 탄소(C)와 수소(H)로 이루어진 청정연료입니다.
이 천연가스의 연소생성물은 대부분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입니다.
그 중 일부가 공기 중에 질소와 반응하여 질소산화물이 생성되나, 당사의 질소
산화물은 굴뚝자동측정시시스템 (TMS)에 의하여 한국환경공단으로 24시간
실시간 전송되어 감시되고 있으며, 대기환경보전법과 경기도 환경기본조례에
의한 법정 배출허용농도인 50ppm의 절반인 25ppm 수준으로 상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굴뚝으로 배출될 때 온도가 약 70~80℃가량 되기 때문에 수증기가 차가운
외부공기와 만나 수증기가 보이는 것입니다.

A
지역난방의 장점은 연속난방방식으로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의 간헐난방의 보일러 중앙집중식 난방방식에 비하여 에너지가 절감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A
열병합발전소에서 생산된 지역난방의 온수(75 ~ 115℃)는 열수송관을 통해서 아파트의 기계실(열교환기실)에 설치된 난방 및 급탕용 열교환기를 거쳐서 열만 전달하고 열병합발전소로 되돌아옵니다. 아파트의 난방(45~60℃) 및 급탕(45~55℃)수는 열교환기에서 열을 전달받아 각 세대로 공급됩니다.

A
주로 심야시간 등 온수사용이 뜸한 경우에 온수 세대분배관에서 수전(또는 샤워기) 사이의 온수가 식어져서 그 찬물이 빠져 나와야 온수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개별 가스보일러도 동일함.)
(개별 가스보일러도 동일함.)
A
공동주택의 세대별 난방열량계 및 실내온도조절기는 지식경제부 고시 제2009-185호에 의거하여 건설업체에서 설치하였으며, 하자처리도 설치 후 3년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지식경제부 고시 제2009-185호)
* 중앙집중식난방방식의 공동주택에 대한 난방계량기 등의 설치 및 유지·관리 지침
(지식경제부 고시 제2009-185호)
A
실내온도조절기의 작동여부(점등)를 확인하고 씽크대 하부 등에 설치된 난방계량기가 돌아가면 정상적인 난방이 진행중입니다.
* 초기 입주시는 미리 축열 시간이 필요합니다.
(단, 지역난방은 연속난방 방식으로 바닥에 축열이 되려면 장기간 난방을 정지하지 마시고 외출기능을 설정하여 조정하시면 빠른 난방 및 난방요금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초기 입주시는 미리 축열 시간이 필요합니다.
A
세대에서 사용하는 온수를 데우기 위해서 시수를 가열하는데 소요된 열량에 대한 비용입니다.
급탕온도는 계절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시수 톤당(㎥) 소요된 열량이 달라지므로 단가도 달라집니다.
구분 |
공급온도(℃) |
시수온도(℃) |
동절기 |
12,1,2월 |
55 |
10 |
춘추절기 |
3,4,5,9,10,11월 |
50 |
15 |
하절기 |
6,7,8월 |
45 |
20 |
※ 급탕비 중 시수(물)값은 별도로 수도료에 포함하여 부과됩니다.
A
동일 평형의 세대를 비교해볼 수 있는데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 세대 확장여부
▷ 인접한 상, 하, 좌, 우 세대 공실(미입주) 여부
▷ 동의 일사량(남향, 동향, 서향 등) 여부
▷ 세대구성원 및 실내 난방설정 온도가 같은지 여부
▷ 인접한 상, 하, 좌, 우 세대 공실(미입주) 여부